티스토리 뷰

반응형

   매월 고정지출로 월급이 들어오자마자 훅 나가버리는 것에 슬픔을 느끼는 분들 많으시죠? 그 중에서도 국민연금이 차지하는 영역도 만만치 않은데요. 고맙게도 정부에서 저소득층 가입자들을 위해 올해 2022년부터 국민연금을 월 4만 5천원 씩, 총 54만 원을 지원하기로 했다고 합니다. 지금부터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국민연금 지원금 지원 대상과 지원 금액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저소득지역가입자를 대상으로 하여 국민연금 보험료를 월 50% 최대 45,000원씩 생애 최대 12개월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지원 대상은 국민연금 지역 가입자 중 납부 예외자로서 납부 예외 사유가 실직, 사업중단, 휴직인 경우에 한하며 2022 7 1일 이후 납부 재개한 경우에 한합니다. 지원 금액은 월 보험료의 50퍼센트이며 최대 4만 5천 원을 지원합니다. 지원기간은 생애 최대 12개월까지로 제한되며, 이때 재산과세표준 6억 원, 종합소득 1,680만 원 이상인 사람은 지원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여기서 종합소득이란 사업·근로 소득을 제외한 금액입니다.

 

국민연금 지원금 지원 신청 방법, 지원 제도 효과

   유선 신청은 불가하며 본인이 직접 가까운 국민연금공단 지사를 방문하여 신청하셔야 합니다. 왜냐하면 신청인의 자격 확인 및 지원제도 안내를 위해서입니다. 혹시나 방문이 어려우신 경우에는 우편, 팩스, 대리인을 통한 신청이 가능합니다. 신청이 통과되신 분께서는 지원금액을 차감한 연금보험료를 고지해 주며, 납부자가 완납 시 지원해 준다고 합니다.

   이렇게 정부에서 세금으로 저소득층에게 국민연금 지원을 하게 되었을 때의 효과는 무엇일까요? 납부자는 보험료를 지원 받아 국민연금 최소 가입기간인 120개월을 채워 노후에 연금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예를 들어 월 소득 100만 원인 한 사람이 연금 보험료 9만 원씩 총 108개월을 납부한 후 지역가입자 보험료 지원을 12개월 받게 된다면, 지원받기 전에는 108개월 동안 972만 원을 납부하고 나중에 반환일시금으로 약 972만원을 수령하게 될 것입니다. 그러나 지원을 받게 되면 지원금 54만 원의 도움을 받아 10년 동안 1,080만 원을 납부한 후 나중에 월 189,000원의 연금을 받게 되는 것입니다. 이는 20년 간 연금을 받는다고 가정하였을 때에 약 4,536만 원을 수령하는 셈입니다.

   2022년 4월 통계 기준으로 국민연금 지역 가입자 668만 명 중 보험료 납부가 어려운 납부예외자가 303만 명, 총 45퍼센트를 차지하며 장기화 경향을 보이고 있다고 합니다. 사업장 가입자 중 납부예외자는 겨우 1퍼센트에 불과한 반면, 지역가입자는 45퍼센트로 국민연금 사각지대가 존재한다는 점에서 정부 차원의 지원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하겠습니다.

    자세한 정보를 더 얻기 원하시는 분은 국민연금 콜센터 전화번호 1355에 전화하시거나, 아래 링크에 접속하셔서 정보를 탐색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nps.or.kr/jsppage/main.jsp

 

국민연금공단

 

www.nps.or.kr

   아무쪼록 어려운 저소득층 지역가입자 분들이 큰 도움 받으시어 노후에 연금을 꼭 수령하시는 기쁨이 있으시길 응원하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