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청년들을 지원하는 정부의 다양한 사업 중 청년희망적금 역시 많은 청년들의 관심사항입니다. 2023년 최신판 정보에 의하면 월 50만 원 납입하고 2년 만기를  채우면 총 1,310만 원 정도 수령하게 된다는데요. 지금부터 청년희망적금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청년희망적금 신청 방법 자격 금리

청년희망적금이란?

  청년희망적금이란 청년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최대 월 50만 원까지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는 청년 전용 2년 만기 적금 상품이라고 합니다. 청년의 자산 형성과 장기적인 자산 관리를 위해 현 예·적금에 추가 4퍼센트의 금리 혜택을 주며, 2년 만기가 되면 납입액에 저축 장려금을 지원하여 줍니다.

 

청년희망적금 신청 방법 자격 금리청년희망적금 신청 방법 자격 금리청년희망적금 신청 방법 자격 금리
청년희망적금 2023

신청 자격, 제외 대상

  청년희망적금 2023의 가입이 가능한 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나이요건

  가입일 현재 만 19세 이상 만 34세 이하인 사람이어야 합니다. 단, '병적증명서'로 다음 각 목의 병역을 이행하였음이 증명되는 경우, 그 기간(6년 이내)을 가입일 현재 연령에서 빼고 계산한 연령이 만 34세 이하인 경우는 가입 가능합니다.

  가. 현역병, 상근예비역 및 의무경찰·의무소방원

  나. 사회복무요원

  다. 장교, 준사관 및 부사관

 

소득요건

  가입일 현재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소득요건(가입일 현재 직전 과세기간의 소득이 확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전전년도 소득을 기준으로 함)을 충족하는 사람이어야 합니다.

  가. 직전년도 총 급여액이 3,600만원 이하 (직전 과세기간에 근로소득만 있거나 근로소득과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지 않는 종합소득이 있는 경우로 한정)

  나. 직전 과세기간의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금액이 2,600만원 이하 (직전 과세기간에 근로소득 또는 사업소득이 있고, 직전 과세기간의 총급여액이 3,600만원을 초과하지 아니하는 경우로 한정)

  다. 가입일이 속한 과세기간의 직전 3개(가입일 현재 직전 과세기간의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 여부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는 나머지 2개) 과세기간 중 1회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소득세법 제14조 제3항 제6호에 따른 소득의 합계액이 같은 호에 따른 이자소득 등의 종합과세기준금액을 초과한 자)에 해당하지 않는 사람

 

청년희망적금 신청 방법 자격 금리청년희망적금 신청 방법 자격 금리청년희망적금 신청 방법 자격 금리
청년희망적금 2023

제외 대상

  소득이 없거나 소득이 있더라도 국세청 소득금액 증명이 불가한 경우에는 참여할 수 없습니다.

  직업에는 따로 제한이 없으며 공무원일 경우에도 소득 및 나이 요건이 충족되는경우 가입 가능하지만 대학생 신분일 경우에는 신청이 불가능합니다.

 

 

만기 시 수령액

은행 이자별 만기 금액

  최대 월 납입금은 50만 원까지 가능하고 2년 만기 상품입니다. 은행 이자는 5%부터 시작하여 은행 별로 0.2% ~ 1% 추가 우대금리를 적용한다고 합니다.만기 시 받을 수 있는 금액은 다음 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월 납입금 / 총 납입금액 5% 적용 시 6% (최대) 적용 시
매월 30만 원 / 720만 원 7,560,000원 7,632,000원
매월 40만 원 / 960만 원 10,080,000원 10,176,000원
매월 50만 원 / 1,200만 원 12,600,000원 12,720,000원

  그 외의 다양한 만기 시 수령액을 계산해 보길 원하시면 다음 파일을 다운로드하셔서 계산하실 수 있습니다.

수령액 자동 계산기2.cell
0.01MB
청년희망적금 신청 방법 자격 금리청년희망적금 신청 방법 자격 금리청년희망적금 신청 방법 자격 금리
청년희망적금 2023

만기 시 저축장려금

  저축장려금은 정부 예산으로 지원되는 장려금으로 정부 예산 범위 내에서 지급될 예정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 표와 같습니다.

월 납입금 저축장려금 이자율
매월 30만 원 216,000원 1년차 2%
2년차 4%
매월 40만 원 288,000원
매월 50만 원 360,000원

  

  이 모든 것을 합친 최대 금액을 예상한다면, 금리 6%로 가정하여, 매월 50만원씩 납입하여 만기까지 적금을 넣었을 경우, 총 납입금액 1,200만 원 X 6% = 1272만원, 여기에 저축장려금 36만원을 합한 1,308만 원을 수령하게 됩니다.

 

청년희망적금 신청 방법 자격 금리청년희망적금 신청 방법 자격 금리청년희망적금 신청 방법 자격 금리
청년희망적금 2023

신청 방법

  청년희망적금 2023에 가입을 원하시는 분은 본 상품 취급 은행인 12개 은행 중 하나를 선택하여 직접 방문하시거나 은행 홈페이지를 통한 온라인 신청이 가능합니다. 아래의 표에서 본인이 원하시는 은행명을 누르시면 은행 홈페이지로 바로 연결됩니다.

< 프로그램 취급 은행 >

NH농협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IBK기업은행 KB국민은행 BNK경남은행 DGB대구은행
BNK부산은행 광주은행 제주은행 전북은행

  신청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가입 은행 및 계좌 개설: 청년희망적금 상품을 제공하는 은행에 가입하고 해당 은행에서 예금 계좌 개설

2. 신청서 작성 및 제출: 은행에서 제공하는 신청서를 작성하고 필요한 서류와 함께 은행에 제출. 주민등록증, 통장 인감증명서, 세대주 등기 등의 서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3. 은행에서 승인이 된 후에는 납입을 시작하면 됩니다. 월 납입 금액과 납입 기간에 따라 정해진 금액을 정해진 날짜에 입금하면 됩니다.

 

청년희망적금 신청 방법 자격 금리청년희망적금 신청 방법 자격 금리청년희망적금 신청 방법 자격 금리
청년희망적금 2023

 

청년도약계좌 vs 청년희망적금 비교

  비슷한 두 상품을 비교해 보시고 본인에게 더 맞는 상품을 고르는 데 도움 되시기를 바랍니다. 기존에 청년희망적금을 가지고 있는 청년은 중복가입이 불가능하다고 하니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대상 만19~34세(병역 이행기간은 연령계산 미산입)
소득기준 개인소득 7천5백만원 이하 가구소득(중위소득 180% 이하) 총급여액 3,600만원 이하 종합소득 2,600만원 이하
납입기간 5년 2년
매칭비율 납입금액의 3~6% 은행 이자: 5~6%
정부 지원금 이율: 1년차 2%, 2년차 4%
정부기여금 월 최대 24,000원 / 144만원(5년) 만기 시 최대 36만원
금리 미정 은행별 5~6%
특별해지 사망, 해외이주, 퇴직, 폐업 + 생애최초주택구입 사유 시 정부지원금, 비과세 혜택 가능 좌동(생애최초주택구입 사유 제외)

 

  더 자세한 청년도약계좌 정보를 알기를 원하시면 이전 포스트를 참고하세요.

 

 

청년희망적금 신청 방법 자격 금리청년희망적금 신청 방법 자격 금리청년희망적금 신청 방법 자격 금리
청년희망적금 2023

  본 정보로 많은 도움 받으시고 새 출발에 힘을 얻는 청년들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

 

 

반응형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